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9월 29일 ‘2022년 정신건강 정책 심포지엄’ 성료

사법, 정신응급, 1인가구 등 향후 서울시 정신건강복지사업의 방향성 모색
각계 전문가들과 다양한 의견 공유 통해 성황리 마무리

2022-09-30 16:00 출처: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2022년 정신건강 정책 심포지엄’ 성료

서울--(뉴스와이어)--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는 9월 29일 정신건강 관련 기관 실무자 및 관계자, 유관 기관 실무자, 학계 전문가 등 약 210명이 참여한 가운데 ‘2022년 정신건강 정책 심포지엄’을 개최, 성황리에 마쳤다고 30일 밝혔다.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가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과 공동 주최한 이번 심포지엄은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방역 수칙을 준수해 무청중으로 진행됐으며, 줌(Zoom)을 통해 온라인 생중계됐다. 심포지엄 주제는 ‘서울형 정신건강 사업의 현재, 그리고 미래를 그리다’로, 빠르게 바뀌는 환경에 발맞춰 최근 정신건강 동향을 반영한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사업을 공유하고, 서울시 정신건강복지사업의 방향성에 대해 논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이해우 센터장의 개회사와 서울시 시민건강국 박유미 국장, 서울의료원 송관영 원장의 축사로 시작된 이번 심포지엄은 총 3개의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사법 정신건강의 미래’라는 주제로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이동우 정책연구소장이 좌장을 맡아 △사법 정신건강의 현황과 방향성(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이해우 센터장)을 발제했고, △국내외 사법정신건강 선행사례와의 비교를 통한 제언(형사정책연구원 안성훈 연구위원,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부 한우재 교수)에 대한 토론이 진행됐다.

‘사법 정신건강의 현황과 방향성’에 대한 발제를 맡은 이해우 센터장은 “사법 정신건강의 방향성 정립을 위해서는 법무부, 보건복지부, 서울시, 경찰 등 관련 관계 기관들이 상호 간의 이해와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국내외 사법정신건강 선행사례와의 비교를 통한 제언’에 대한 토론을 맡은 안성훈 연구위원은 “한정된 예산과 인력, 조직을 극복하고 각각의 전문성과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우재 교수는 “정신질환 범죄자를 위한 전문가 교육훈련 확대, 시범사업을 통한 효과성 입증 및 인력과 예산 확대, 공공&민간 협력모델을 통한 시스템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서울형 정신응급 대응체계의 미래’라는 주제로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황태연 이사장이 좌장을 맡아 △서울형 정신응급 대응체계 구축(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조연정 상임팀장)을 발제했고, △현행 정신응급 대응체계와의 비교를 통한 서울형 정신응급 대응체계의 방향성 제언(보라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희준 교수, 동대문구정신건강복지센터 김성남 부센터장)에 대한 토론이 진행됐다.

‘서울형 정신응급 대응체계 구축’에 대한 발제를 맡은 조연정 상임팀장은 “서울시 정신응급합동대응팀은 경찰을 통한 대상자의 안전 확보, 전문요원의 정신과적 평가, 적절한 의료 기관의 신속한 연계를 통해 대상자에게 조기, 적시 치료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대상자의 빠른 회복을 지원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현행 정신응급 대응체계와의 비교를 통한 서울형 정신응급 대응체계의 방향성 제언’에 대한 토론을 맡은 김희준 교수는 정신응급 대응체계 구축과 관련해 “상급 종합병원 병상확보 필요, 수가 문제는 경제 논리를 넘어서는 사회 안전망이자 필수 의료 영역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김성남 부센터장은 “응급 대응 현장의 필수요소로 정신응급 병상확보, 이송과 안전, 대상자와 평가자의 요건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 번째 세션에서는 ‘서울형 생애주기별 1인가구 정신건강 관리체계의 미래’라는 주제로 태화샘솟는집 문용훈 관장이 좌장을 맡아 △서울시 1인가구 정신건강서비스 지원체계 구축 제안(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이승연 부센터장)을 발제했고, △지역사회 현장을 기반으로 한 1인가구 정신건강관리 지원체계 제언(동대문구정신건강복지센터 이상민 센터장, 도봉구보건소 김상준 보건소장)에 대한 토론이 진행됐다.

‘서울시 1인가구 정신건강서비스 지원체계 구축 제안’에 대한 발제를 맡은 이승연 부센터장은 “1인가구는 연령대별로 다른 특성을 보이므로, 1인가구 내 이질성을 고려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며 “정신건강서비스 전문 기관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기본적인 여건 마련이 특히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역사회 현장을 기반으로 한 1인가구 정신건강관리 지원체계 제언’에 대한 토론을 맡은 이상민 센터장은 “1인가구 정신건강에 접근할 때 앞으로 연령별, 특성별 맞춤형 전략이 필요하며 정보통신기술,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시대 흐름에 맞춰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김상준 보건소장은 “1인가구에 대한 효과적인 정신건강서비스 개입을 위해서는 지역별 1인가구에 대한 분석과 요구도 평가, 서비스 필요성을 고려한 정신건강서비스가 제공돼야 한다”고 말했다.

세션별 발제와 토론이 완료된 뒤에는 온라인 참여자들과 소통하며 질의응답이 진행됐다.

이번 심포지엄을 주관한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의 이해우 센터장은 “심포지엄 주제인 사법 정신건강, 정신응급 대응, 1인가구 정신건강과 관련해 현 사회 흐름에 따라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도 함께 발맞춰나아가야 하며, 이는 정신건강 분야뿐만 다양한 분야에서 다각도로 고민해야 할 부분”이라며 “이번 심포지엄이 앞으로 서울시 정신건강복지사업의 방향성을 정립할 수 있는 계기가 됐을 것이라 생각하며, 이번 심포지엄에 참여해주신 모든 분께 감사하다”고 말했다.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개요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는 2005년 전국 최초로 개소한 광역형 정신건강복지센터다. 서울시민들의 정신건강 향상과 정신질환 예방, 정신건강의 어려움이 있는 시민도 더불어 살며 회복되는 행복한 서울을 만들기 위해 정신건강증진기관들과 협력해 다양하고 전문적인 정신건강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배포 안내 >
뉴스와이어 제공